[CloD 비행 매뉴얼] 보우파이터 Mk.IF 클리프 오브 도버 가이드

※ TF 4.5 버전에서 추가된 기종입니다.

원문 출처 - https://www.theairtacticalassaultgroup.com/wiki/doku.php?id=beaufighter_mkif

Bristol Beaufighter Mk.IF

브리스톨 보우파이터 Mk.IF

2차 세계대전 당시에 영국이 운용했던 첫 번째 중전투기입니다. 알류미늄 재질로 제작된 전금속 외피와 튼튼한 설계구조 덕분에 뛰어난 내구성을 지녔으며, 배면에 장착된 4문의 20mm 기관포와, 주익에 장착된 6정의 .303 구경(7.7 mm) 기관총 덕분에 다른 연합군 항공기들보다 더 강력한 중무장을 지닌 기종입니다. 보우파이터에 장착된 브리스톨 허큘리스 XI 엔진 2기는 저고도에서 뛰어난 속도를 자랑하지만, 고도가 높아질 수록 두드러진 성능 저하를 보여줍니다.

* 주의 사항 : 엔진 카울 플랩의 작동 그래픽이 아직 구현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클리프 오브 도버에서 항공기들의 구동 부품을 255개 이상 구현하려면, 추가 코드 수정 작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작동 애니메이션 그래픽은 구현되지 않았지만, 개방 및 폐쇄에 따른 엔진 온도 변화는 구현돼있습니다.


엔진

보우파이터 전투기의 주익에는 1600 sHP에 달하는 브리스톨 허큘리스 XI 공랭식 방사형 엔진 2개가 장착돼있습니다. 허큘리스 XI 엔진에는 수동으로 전환되는 2단 변속 슈퍼차져가 장착돼있으며, 'M' 또는 저속 기어(COMP : 0% ), 'S' 또는 고속 기어(COMP : 100%)로 나누어져있습니다.

※ 축마력(sHP) : 원동기의 축부(軸部)에서 출력되는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마력. 원동기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도중에 마찰 따위로 손실되므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마력을 축마력이라고 한다.

• 엔진 제한 사양
- 최대 엔진 온도 : 260℃
- 최대 엔진 오일 온도 : 90℃

- 최대 엔진 회전수 : 2,800 rpm (...으로 추정?)
- 최대 강하 속도 : 410 mph (659km/h)

• 슈퍼차져 변속 고도
- 상승 출력 설정시 (+2.5 부스트/2,400 rpm) - 고도 7,800 ft (2,377m)에서 변속
- 교전 출력 설정시 (+6.5 부스트/2,800 rpm) - 고도 6,300 ft (1,920m)에서 변속

※ 상승 중 엔진 출력이 떨어진다 싶으면 그때 슈퍼차져를 'S' 단계로 변속해주면 됩니다. (COMP : 100%)
※ 저고도에서 슈퍼차저를 'S' 단계로 전환한다 하더라도 출력이 더 생성되는 것은 아니며, 그저 압축된 공기가 엔진에 더 유입될 뿐입니다. (압축된 공기 때문에 엔진 온도가 더 상승하는 것이 구현됐는지는 모르겠네요)

• 엔진 설정

 RPM
부스트
엔진 온도
오일 온도
상승
2,400
+2.5
230℃
80
순항
2,400+2.5230℃
80
교전2,800+6.5260℃ 이하
90℃ 이하

• 상승 출력 설정
- 엔진 출력을 +2.5 부스트/2,400 rpm으로 설정
- 엔진 카울 플랩 3/4 개방 (CARB : 75%)
- 시속 160 마일로 상승 (1000ft 고도마다 1마일씩 감속된 속도로 상승)
- 엔진 온도를 220~230℃로 유지
- 엔진 오일 온도를 70~80℃로 유지
- 7,800 ft (2,377 m) 고도에 도달시 슈퍼차져 레버를 'M'단계에서 'S'단계로 전환 (COMP : 100%)

• 수평 비행 출력 설정
- 엔진 출력을 +2.5 부스트/2,400 rpm으로 설정
- 엔진 카울 플랩 1/2 개방 (CARB : 50%)
- 엔진 온도를 220~230℃로 유지
- 엔진 오일 온도를 70~80℃로 유지

• 교전 출력 설정 (5분 제한)
- 엔진 출력을 +6.5 부스트/2,800 rpm으로 설정 (부스트 컷 아웃 'on')
- 엔진 온도를 260℃ 이하로 유지
- 엔진 오일 온도를 90℃ 이하로 유지

※ TF 4.5 버전 기준, +4.5~6.5 부스트/2,800 rpm으로 계속 날아다녀도 엔진에 이상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엔진 온도가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만 잘하면 교전 속도로 30분 넘게 날아다녀도 별 지장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최대 가속고도 이상에서의 교전은 허큘리스 엔진이 제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허큘리스 엔진은 정속 프로펠러 피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 회전수를 일일이 조절해줘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급강하시 순간적으로 과회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무장


• Beaufighter Mk.IF

- 7.7mm 브라우닝 기관총 x 6정 (주익, 총 1000발?)
- 20mm 이스파노 기관포 x 4문 (기수, 각각 60발) (총 960발)

※ Mk.IF 전투기는 사격 버튼 하나로 모든 무장을 운용하기 때문에, 기관총과 기관포를 따로따로 운용할 수 없습니다.
※ Mk.IF 전투기에 탑재된 20mm 이스파노 기관포는, 드럼 탄창 방식으로 급탄되며 각 탄창에는 총 60발의 탄환이 장전돼있습니다.
※ 첫 번째 탄창을 모두 소비할 경우, 관측수가 탄창 교체작업을 시작하며 총 세 번에 걸쳐서 탄창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60+60+60+60 = 240)
※ 급기동 등의 이유로 중력 가속도가 높아지면 탄창 교체 작업이 지연됩니다. (교체 시간은 대략 30초)
※ 게임상에서 부여된 브라우닝 기관총의 번호는 좌측부터 오른쪽으로 5,6 - 7,8,9,10번으로 지정돼있습니다.


연료 탱크

보우파이터 전투기에는 총 4개의 연료 탱크가 있습니다. 각 날개에는 연료 탱크가 2개씩 수납돼있으며, 각각 '내부' 및 '외부' 연료 탱크로 지칭됩니다. 연료 계기의 위치는 조종석 우측 뒤쪽 벽면에 오른쪽 주익에 해당되는 연료 계기가 부착돼있고, 조종석 좌측 전방 벽면에는 왼쪽 주익에 해당되는 연료 계기가 부착돼있습니다. 각 벽면에 부착된 2개의 연료 계기들은 '내부' 및 '외부' 연료 탱크에 담겨있는 연료량을 표시해줍니다. 조종사는 조종석 좌측 벽면에 배치된 밸브를 사용해서 각 엔진에 공급할 연료 탱크를 선택하거나 전환할 수 있습니다.

※ 내부 연료 탱크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용하시길 바랍니다.
※ 35%의 연료만 채워놓아도 각각 94 갤런(355 ℓ * 2 = 710 ℓ)에 달하는 연료량이 탑재되기 때문에 충분히 오래동안 날아다닐 수 있습니다.

※ 외부 연료 탱크 용량 : 87 갤런 (395 ℓ * 2 = 790 ℓ)
※ 내부 연료 탱크 용량 : 188 갤런 (855 ℓ * 2 = 1,710 ℓ)

• 연료 혼합비 조절

- 오토리치(AutoRich) / 일반(Normal)
엔진 시동, 이륙, 순항, 착륙, 교전 등등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연료 혼합비 설정으로, 연료 혼합비 레버를 전부 뒤로 당겨서 "오토리치" 또는 "일반"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MIX : 100%-110%)

※ 오토리치/일반 설정시 고도 변화에 따른 혼합비를 기화기(carburetor)가 자동적으로 보정해줍니다.

- 오토린(Autolean) / 저출력(Weak)
연료 소비율을 낮춰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혼합비 레버를 앞쪽으로 완전히 밀어서 '오토린' 또는 '저출력'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MIX : 0%)

유의 사항 : 오토린/저출력 혼합비 설정은 2,400 rpm 이하의 엔진 회전수와 +0 부스트 이하의 저출력에서만 사용됩니다. 엔진 시동, 이륙, 상승, 교전 상황 등등등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절대 사용되지 않습니다.


엔진 시동

- 바퀴 고정 (Chocks 'in')
- 좌측 벽면에 있는 연료콕(Fuel cock) 손잡이를 'on'으로 설정
- 좌측 벽면에 있는 연료 밸브 2개를 '내부 연료 탱크(Inner Tanks)'로 설정
- 각 엔진의 마그네토 스위치를 'on'으로 설정 (조종간 앞쪽에 가려져있습니다)
- 쓰로틀 레버를 12%로 설정해서 연료 조절판을 살짝 개방
- 연료 혼합비를 오토리치/일반(AutoRich/Normal)으로 설정 (MIX : 100%)
- 엔진 카울 플랩을 완전히 폐쇄 (CARB : 0%)
- 슈퍼차져 레버를 'M' 또는 저속 기어로 설정 (COMP : 0%)
- 1번 엔진 선택 후 엔진 시동
- 2번 엔진 선택 후 엔진 시동
- 양쪽 엔진 선택
- 엔진 오일 온도계가 각각 20도에 도달할 때까지 예열
- 쓰로틀 레버를 60%로 설정 (엔진 오일 온도계가 각각 25도에 도달하면 지상 이동가능)
- 엔진 카울 플랩을 완전히 개방 (CARB : 100%)
- 엔진 온도계가 각각 50도에 도달할 때까지 예열

* 주기장 이동시 최소 엔진 온도 : 50도
* 주기장 이동시 최소 엔진 오일 온도 : 25도

※ 게임에서는 위 절차를 전부 수행할 필요없이 간소화돼있습니다.
'바퀴 고정' → '연료콕 레버 on' → '내부 연료 탱크 선택' → '쓰로틀 10%' → '1, 2번 엔진 시동' → '엔진 예열'
※ 예열 과정이 굉장히 길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합니다.
※ 엔진 오일 온도가 18~20도 근처에 도달하면, 활주로로 이동해서 이륙하시면 됩니다.
※ 예열 과정이 끝났다면 라디에이터 플랩과 엔진 카울 플랩을 적당히 개방한 후 이륙하시길 바랍니다.


이륙

- 바퀴 고정 해제 (Chocks 'out')
- 브레이크와 방향타를 사용하면서 활주로 끝으로 이동한 후 쓰로틀을 0%로 설정
- 이륙 가능한 최소 엔진 온도 : 100도
- 이륙 가능한 최소 엔진 오일 온도 : 40도
- 착륙 플랩 살짝 전개 (기체중량이 가벼울 경우 생략)
- 프롭피치 레버를 최적(Fine) 피치로 설정 (PROP : 100%) (2,800 RPM)
- 부스트 제한 해제 (Boost Cutout 'on') (+6.5 부스트 사용가능)
- 슈퍼차져 레버를 'M' 또는 저속 기어로 설정 (COMP : 0%)
- 쓰로틀 레버를 부드럽게 전진시켜서 연료 조절판을 완전히 개방 (THTL : 110 %)(+6.5 부스트)
- 방향타를 사용해서 활주로 중앙으로 똑바로 활주
- 항공기가 자연스럽게 떠오를 수 있도록 조종간을 살짝 잡아당김
- 항공기가 완전히 떠오르면 착륙바퀴 수납 후 상승
- 착륙 플랩 접음
- 부스트 제한 설정 (Boost Cutout 'off')
- 쓰로틀 레버를 당겨서 +2.5 부스트로 감속 (THTL : 100%)
- 프롭피치 레버를 당겨서 2,400 rpm 유지 (PROP : 55%)
- 엔진 카울 플랩 3/4 개방 (CARB : 75%)

※ 엔진 오일 온도가 18~20도 근처에 도달하면, 활주로로 이동해서 110% 출력으로 이륙하시면 됩니다.
※ 이륙 전 라디에이터 플랩과 엔진 카울 플랩을 적당히 개방한 후 이륙하시길 바랍니다.


착륙

주의 : 착륙 바퀴를 전개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속도는 190 mph 입니다. 그 이상의 속도에서 착륙 바퀴를 전개할 경우 고장날 우려가 있습니다.

- 고도 1,000 ft로 하강하면서 160 mph (257km/h)로 감속
- 프롭피치 레버를 최적(fine) 피치로 설정 (PROP : 100%)
- 착륙 플랩을 완전히 전개 (flap : 100%)
- 기수가 들리도록 트림 설정
- 착륙 바퀴 전개 후, 120 mph (193km/h) 유지
- 110 mph (177km/h)로 감속하면서 활주로 접근 (최소 비행속도에 근접)
- 100 mph (160km/h)의 속도로 착륙
- 방향타와 보조날개를 사용해서 활주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
- 쓰로틀 레버와 프롭피치 레버를 완전히 당겨서 감속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조금씩 이요해서 감속
- 항공기가 완전히 정지할 경우 활주로 밖으로 이동

※ 브레이크는 살짝 눌렀다 떼는 정도로만 조금씩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브레이크를 오래 사용할 경우 기체가 앞쪽으로 전복 됩니다.
※ 기체가 튼튼하기 때문에 대충 저속으로 감속하면서 적당히 착륙해도 괜찮습니다.


교전 팁

TF 4.5 버전에서 구현된 보우파이터는 저고도에서 상당히 강력한 기동성을 보여주는 기종입니다. 엔진 출력을 +6.5 부스트에 2,800 rpm으로 유지할 경우, BF109를 상대로 근접 기동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수들의 경우에는 하강 기동으로 이탈하는 109를 추격해서 격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순간적인 기체 반응과 롤 기동이 둔한 편이고 후방시야가 굉장히 안좋기 때문에 기습공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20mm 기관포탄에 피격시 승강타가 고장나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내구성이 좋다는 느낌을 받기가 힘든 편입니다. 그러므로 아군기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면, 후방석으로 자리를 옮겨서 후방을 살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이 경우, 플레이어가 조종사와 관측수를 동시에 컨트롤하는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관측수의 경고 메세지를 들을 수 없게되며, 사망할 경우 2명분의 목숨을 잃는 것으로 처리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또한, 탈출해야 할 경우 후방석에 있는 방풍창까지 모두 제거해줘야 탈출되기 때문에 생존률이 낮은 편입니다.

----------------------------------------------------------------------------------------------------------------------
※ 항공용어를 자세히 알고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멋대로 번역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 잘못 번역된 내용이 있다면 따끔하게 지적해주시길 바랍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